삼정봉-중수봉-깃대봉 산행기
◈ 일시: 2025년 2월 20일 목요일 / 맑음
◈ 장소: 삼정봉 681m / 중수봉 548m / 깃대봉 545m / 전북 완주
◈ 코스: 장군봉 주차장 → 해골바위 → 금남정맥 → 삼정봉 → 중수봉 → 깃대봉 →
장재 → 임도 → 장군봉 주차장
◈ 거리: 9.9km
◈ 시간: 3시간 55분
◈ 회원: 청주 천봉산악회 안내 산행





06:50 해골바위를 아는가? 바위에 구멍이 뚫리던가 해서 모양이 해골을 닮았을 경우에 일컫는 말이다. 인왕산, 수우도, 불암산, 도봉산, 북한산을 비롯한 전국에서 해골바위를 찾아볼 수 있다. 오늘 찾아가는 완주 장군봉은 전북 지역에 있는 바위산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산림청 지정 100대 명산에 들어있는 운장산과 금남정맥으로 이어져 있다. 그런데 이 장군봉에 그 유명한 해골바위가 있는 것이다.
7시 30분에 청주체육관 앞을 출발한 버스가 강서나들목에서 고속도로에 진입하더니 남쪽을 향해 달려가기 시작했다. 오늘도 춥다. 우수에 찾아온 추위가 영 물러갈 줄을 모르네. 벌곡휴게소에 잠깐 들른 버스가 소양나들목에서 고속도로를 벗어나더니 이번에는 55번 지방도를 따라 산행 들머리가 있는 장군봉 주차장을 향해 달려가기 시작한다.

▲ 청주 꽃다리에서 바라본 무심천 [07:05]

▲ 꽃다리 뒤로 보이는 힐데스하임 아파트 [07:06]

▲ 청주체육관 앞에 서 있는 한길우등관광 버스 [07:22]

▲ 청주체육관에서 바라본 일출 광경 [07:22]

▲ 호남고속도로 벌곡휴게소 [08:31]
09:48 장군봉 주차장에 버스가 섰다. 이곳에서는, 능선 위에 솟아 있는 장군봉, 삼정봉, 중수봉, 깃대봉과 해골바위 코스, 삼정봉을 지나서 내려오는 코스, 장재에서 내려오는 코스 등을 적절하게 조합해서 자신이 원하는 원점회귀 산행 루트를 짤 수 있다. 나는? 장군봉은 이미 두 번 가보았기에 생략하고, 해골바위 코스로 올라가 삼정봉, 중수봉, 깃대봉을 거친 후 장재에서 내려올 생각이다. 삼정봉은 두 번 들른 적이 있지만 중수봉과 깃대봉은 이번에 처음 찾아간다.
출발, 구수산장 앞을 지나 마을길을 따라 8분 정도 걸어가자 삼거리다. 오른쪽은 장군봉 코스, 왼쪽은 해골바위 코스. 회원들 모두가 오른쪽으로 가는데 나만 왼쪽으로 간다. 물길을 건너고, 산죽 사이로 나 있는 길과 크고 작은 돌이 깔려 있는 길을 지나 조금씩 고도를 높인다. 약간 찬기운이 있기는 하지만 날이 너무나 화창해서 산행하기에는 아주 그만이다. 게다가 새소리조차 들리지 않는 길이라 고요하기가 이를 데 없다.

▲ 장군봉 주차장에 버스 도착 [09:48]

▲ 장군봉 산행 안내도 [09:49]

▲ 마을길을 따라 진행 [09:52]

▲ 삼거리에서 해골바위 쪽으로 진행 [09:58]

▲ 계류를 건너간다 [10:01]

▲ 산죽 사이로 나 있는 길 [10:03]

▲ 해골바위 850m 전 이정표 [10:09]

▲ 크고 작은 돌이 깔려 있는 구간 [10:11]

▲ 산죽 사이로 나 있는 길 [10:16]

▲ 오르막 나무계단길 [10:17]
10:19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계곡을 건너 고도를 높여가자 널찍한 공간이 나오고, 세워놓은 표지판에 C지역 침니등반, 전후면하강, 슬랩등반, 등강기등반이라고 적혀 있다. 장군봉 암벽 지대는 육군 제7공수특전여단 유격훈련장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근처에 암벽훈련장이 있는 모양이다. 가파른 오르막길을 10분 가까이 걸어 오른쪽으로 나 있는 길에 들어섰다. 그런데, 아니 이게 뭐야! 침니 등반, 전후면 하강 등의 표지판이 보이고 암벽에 자일이 드리워진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어머나 세상에, 공수부대 암벽훈련장으로 들어왔네. 유턴.

▲ 계류를 건너간다 [10:19]

▲ 또 한 번 작은 계곡 통과 [10:24]

▲ C지역 안내판 [10:29]

▲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오르막길 [10:34]

▲ 스테이플러 발판 [10:36]

▲ 암벽훈련장으로 가는 길 [10:39]

▲ 침니등반 훈련장 [10:41]

▲ 이 길이 맞는 건가? [10:41]

▲ 암벽 하강 훈련장 [10:42]

▲ 전후면 하강 훈련장 [10:43]
10:46 암벽훈련장에서 되돌아 나오니 길 옆에 매달려 있는 표지판이 하나 보인다. 등산로 아님. 그것 참, 저것을 왜 못 보았을까. 능선에 올라서서 왼쪽에 있는 헬기장에 잠깐 들렀다. 전망은 좋은데 어디가 어딘지는 잘 모르겠네. 유턴, 7분 후 장군봉의 최대 볼거리인 해골바위 앞에 도착했다. 14년 전 처음 와서 보았을 때나 지금이나 변한 게 거의 없다. 오랜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타포니 지형인 해골바위에는 용 뜯어먹은 바위라는 별칭이 붙어 있다. 해골바위 앞을 떠나 20분 정도 가파른 오르막길을 걸어 주능선으로 올라갔다.

▲ 등산로 아님 표지판 [10:46]

▲ 능선 왼쪽에 있는 헬기장 [10:48]

▲ 해골바위로 올라가는 길 [10:54]

▲ 장군봉의 명물 해골바위 [10:55]

▲ 장군봉의 명물 해골바위 [10:55]

▲ 해골바위 오른쪽에 있는 명품 소나무 [10:57]

▲ 조망처에서 바라본 연석산 방면 [10:58]

▲ 해골바위 측면 모습 [10:59]

▲ 스테이플러 발판 오름길 [11:04]

▲ 조망처에서 바라본 연석산 [11:08]
11:20 장군봉에서 삼정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올라섰다. 여기서 잠깐 장군봉의 위치에 관해서 살펴보자. 네이버지도에 표기되어 있는 장군봉 정상에는 정상표지석이 있고, 산행 코스에 서 있는 이정표도 그곳을 장군봉으로 안내하고 있다. 그런데 카카오맵을 보면 장군봉 오른쪽에 있는 봉우리를 기차산이라고 하고, 지금 올라와 있는 이곳 오른쪽 봉우리를 장군봉으로 표기하고 있다. 어느 게 맞는가.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를 확인해 보니 카카오맵이 맞는 것으로 나와 있다. 그러면 네이버지도는 뭐지?
이곳에서 왼쪽 삼정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응달지역에는 눈이 하얗게 덮여 있다. 12분 후, 금남정맥 갈림길 지점에 도착했다. 피암목재에서 이곳까지 이어지는 금남정맥 길은 2013년 9월 22일에 걸은 적이 있다. 오른쪽으로 갈라지는 금남정맥과 헤어져 삼정봉 쪽으로 계속 걸어간다. 얼어붙은 조릿대가 자꾸 발길을 잡는 그런 구간이다.

▲ 주능선에 서 있는 이정표: 금잔봉 쪽으로 진행 [11:20]

▲ 오늘도 써봅니다 [11:21]

▲ 눈이 덮여 있는 능선길 [11:28]

▲ 금남정맥 삼거리를 지나 계속 진행 [11:36]

▲ 조릿대가 발걸음을 잡는 구간 [11:40]

▲ 표지기가 길을 안내하고 있다 [11:42]

▲ 걷기 좋은 능선길 [11:51]

▲ 장군봉을 거쳐온 선두 팀이 보인다 [12:00]

▲ 삼정봉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 [12:03]
12:09 해발 681m의 삼정봉 정상에 도착했다. 정상에서는 장군봉 능선 뒤로 하늘을 가르고 있는 운장산 능선이 잘 보인다. 삼정봉 정상에서 7분을 걸어가자 삼거리 지점으로, 여기서 왼쪽으로 뻗어 있는 능선은 주차장으로 내려가는 길이다. 삼거리에서 해발 548m의 중수봉 정상까지는 13분 거리, 중수봉에서 오늘 산행 코스의 마지막 봉우리인 깃대봉까지도 마찬가지로 13분 거리였다.

▲ 삼정봉 정상에 매달려 있는 표지기들 [12:09]

▲ 해발 681m 삼정봉 정상 표지판 [12:09]

▲ 삼정봉 정상 조망: 장군봉 능선 뒤로 보이는 운장산 [12:10]

▲ 삼거리에 서 있는 이정표: 중수봉은 직진 [12:17]

▲ 야누스의 얼굴처럼 능선 반반이 완전 딴판이다 [12:26]

▲ 해발 548m 중수봉 정상 표지판 [12:30]

▲ 중수봉 정상에 매달려 있는 표지기들 [12:30]

▲ 깃대봉 정상으로 가는 길 [12:37]
12:43 삼각점이 박혀 있는 봉우리에 도착해 보니, 표지기에 해발 545m 깃대봉이라고 적혀 있다. 깃대봉 정상을 떠나자마자 나타난 헬기장, 어? 장군봉 주차장에 서 있는 우리 버스가 보이네. 잠깐 더 내려가자 이번에는 운암산이 보이고 운장산에서 연석산으로 이어지는 능선도 보이는 전망대가 나타났다. 장관이네. 전망대부터 장재까지는 경사가 급한 내리막길이 계속 이어진다.

▲ 깃대봉에 서 있는 이정표: 왕재 쪽으로 진행 [12:43]

▲ 깃대봉 정상에 박혀 있는 삼각점 [12:43]

▲ 해발 545m 깃대봉 정상에 매달려 있는 표지기들 [12:43]

▲ 헬기장에 도착 [12:45]

▲ 헬기장 조망: 장군봉 주차장에 서 있는 우리 버스 [12:45]

▲ 전망대 조망: 운암산 방면 [12:51]

▲ 전망대 조망: 운장산에서 연석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12:51]

▲ 내리막 철계단 [12:51]

▲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내리막길 [12:53]

▲ 내리막 통나무 계단길 [12:59]
13:00 이정표가 서 있는 장재에 도착했다. 여기서 제2전망대 방향은 대아자연휴양림 쪽으로 가는 길이다. 왼쪽으로 나 있는 사면길을 잠깐 걸어가자 널찍한 묵은 임도가 나타나고 그 길은 차도까지 계속 이어졌다. 장재 출발 19분 후, 신월리 마당목길 차도에 내려서서 길을 건너 구수로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마을길 따라 비들목재를 넘어 장군봉 주차장에 도착, 버스 옆에서 간단히 뒤풀이를 하고 3시 출발, 금산인삼랜드 휴게소에 잠깐 들른 버스가 청주에 도착하니 시계가 5시 39분을 가리키고 있었다.

▲ 장재에 서 있는 이정표 [13:00]

▲ 산죽 사이로 나 있는 널찍한 길 [13:08]

▲ 길 왼쪽으로 보이는 마당목농원 [13:15]

▲ 마당목길 차도 건너 구수로를 향하여 [13:19]

▲ 비들목재로 올라가는 길 [13:23]

▲ 비들목재 날망 통과 [13:32]

▲ 왼쪽으로 보이는 구수산장 [13:42]

▲ 장군봉 주차장에 대기 중인 우리 버스 [13:44]

▲ 통영대전고속도로 금산인삼랜드 휴게소 [16:20]

▲ 청주 꽃다리에서 바라본 무심천 [17:39]
'국내 산행 > 전북山行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2.22. [전북山行記 147] 전북 김제 구성산 (0) | 2025.02.22 |
---|---|
2025.02.06. [전북山行記 145] 전북 임실 매봉/옥녀봉/덕재산 (0) | 2025.02.06 |
2024.12.26. [전북山行記 144] 전북 무주 대호산/성지산/김해산/금해산 (0) | 2024.12.26 |
2024.08.15. [전북山行記 143] 전북 완주 시루봉/불명산 (18) | 2024.08.15 |
2024.07.25. [전북山行記 142] 전북 완주 원등산/귀뚤봉 (25) | 202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