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봉-옥녀봉-덕재산 산행기
◈ 일시: 2025년 2월 6일 목요일 / 맑음, 한파주의보
◈ 장소: 매봉 431.2m / 옥녀봉 472.8m / 덕재산 487.1m / 전북 임실
◈ 코스: 아침재 → 매봉 → 한치재 → 옥녀봉 → 덕재산 → 덕재단→ 금평마을
◈ 거리: 7.35km
◈ 시간: 2시간 46분
◈ 회원: 청주 천봉산악회 안내 산행





06:50 오늘은 산악회 시산제를 지내는 날, 산행 대상지는 매봉, 옥녀봉, 덕재산 등이 솟아 있는, 전북 임실에 있는 작은 산줄기이다. 덕재산은 어떤 산인가?
해발 487.1m의 덕재산은 가벼운 산행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소리 소문 없이 등산객 사이에 알려진 산이다. 옥녀봉과 매봉으로 이어지는 종주 코스가 주된 산행로이다. 덕재산의 가장 큰 매력은 정상에서 바라보는 풍광, 멀리 팔공산에서부터 남서쪽의 오수면까지 펼쳐진 탁 트인 전경을 조망할 수 있다. 덕재산에는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임도가 있어 가벼운 트레킹이나 라이딩 코스로도 적합한 곳이다.
7시 30분에 청주체육관 앞을 출발한 버스가 청주나들목에서 고속도로에 진입, 남쪽을 향해 달려가기 시작했다. 화요일부터 시작된 입춘 한파가 오늘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래도 한낮에는 영상으로 올라간다고 하니 조금 위안이 된다. 벌곡휴게소에 잠깐 들른 버스가 임실나들목에서 고속도로를 벗어나더니 이번에는 일반도로를 따라 산행 들머리가 있는 아침재를 향해 달려가기 시작한다.

▲ 청주 꽃다리에서 바라본 무심천 [07:04]

▲ 꽃다리 뒤로 보이는 힐데스하임 아파트 [07:05]

▲ 해가 뜨고 있나 보다 [07:08]

▲ 청주체육관 앞에 서 있는 한길우등관광 버스 [07:22]

▲ 청주체육관에서 바라본 일출 광경 [07:22]

▲ 호남고속도로 벌곡휴게소 [08:39]
09:56 721번 지방도가 지나가는 아침재 고갯마루에 버스 도착. 마침 도로변에 적당한 공터가 있어 상을 차리고 올 한 해 안전한 산행, 즐거운 산행을 기원하는 시산제를 지낸 다음, 성수산 권역 등산로 종합안내도가 서 있는 곳을 지나 나무계단길에 올라서는 것으로 본격적인 산행에 들어간다. 지금은 무용지물로 변해 버린 산불감시초소 왼쪽을 지나 사면을 가로지른 후 막 내리막길에 들어섰는데... 아무래도 매봉 가는 길이 아닌 것 같아 지도를 확인해 보니, 올려다보이는 봉우리가 매봉 갈림길 지점이었다. 유턴.

▲ 아침재 고갯마루에 도착 [09:56]

▲ 아침재에서 바라본 임실군 지사면 관기리 방면 [09:57]

▲ 천봉산악회 시산제 [10:03]

▲ 천봉산악회 시산제 [10:09]

▲ 눈이 하얗게 덮여 있는 산행 들머리 [10:21]

▲ 성수산 권역 등산로 종합안내도 [10:23]

▲ 아침 햇살을 받은 하얀 눈밭 [10:23]

▲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나무계단길 [10:24]

▲ 다시 나타난 오르막 나무계단길 [10:28]

▲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산불감시초소 [10:31]
10:37 한치재 갈림길 이정표가 서 있는 삼거리봉에 도착, 여기서 250m 정도 떨어져 있는 매봉을 다녀와야 한다. 8분을 걸어 해발 431.2m의 매봉 정상 도착, 정상 표지석이나 표지판은 없지만 우리나라의 유명한 산꾼이었던 백계남 씨의 표지기에 매봉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유턴, 삼거리봉으로 돌아와 이번에는 한치재 가는 길에 들어선다. 잠시 후 조망처가 나타났다. 사방이 터져 있어 주변 풍경이 시원하게 모두 눈에 들어온다,

▲ 삼거리봉에 서 있는 이정표: 여기서 매봉을 다녀와야 한다 [10:37]

▲ 매봉 가는 길 [10:40]

▲ 매봉 정상에 매달려 있는 표지기들 [10:45]

▲ 삼거리봉으로 돌아와 한치재 쪽으로 진행 [10:51]

▲ 눈이 쌓여 있는 능선길 [10:58]

▲ 한치재 380m 전 이정표 [11:02]

▲ 전망대에서 바라본 팔공산 방면 [11:03]

▲ 전망대에서 바라본 임실군 지사면 방면 [11:03]

▲ 전망대 조망: 앞으로 가야 할 능선 [11:04]

▲ 청미래덩굴 열매가 잘 익었다 [11:06]
11:08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내리막 계단길과 꽤 많은 눈이 덮여 있는 내리막길을 걸어 한치재에 내려섰다. 임도가 지나가는 한치재를 건너 다시 나무계단길에 들어서서 잠깐 올라가자, 빨간 청미래덩굴 열매가 마치 꽃처럼 피어 있는 게 보인다. 고것들 참 예쁘게도 익었네. 송전탑 아래를 지나 올라선 봉우리에, 옥녀봉까지 남은 거리가 830m라고 적혀 있는 이정표가 하나 서 있다.

▲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내리막 계단길 [11:08]

▲ 한치재로 내려가는 길 [11:11]

▲ 임도가 지나가는 한치재 [11:13]

▲ 한치재에 서 있는 이정표: 옥녀봉 쪽으로 진행 [11:14]

▲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오르막 계단길 [11:14]

▲ 빨갛게 익은 청미래덩굴 열매 [11:17]

▲ 꽃보다 더 예쁜 청미래덩굴 열매 [11:17]

▲ 송전탑 아래를 통과 [11:20]

▲ 덕수암 갈림길 지점: 옥녀봉 쪽으로 진행 [11:24]

▲ 오르막 나무계단길 [11:26]
11:33 14분 동안 계속 이어지는 오르막 눈길을 걸어, 마침내 해발 472.8m의 옥녀봉 정상에 도착했다. 정상 표지석을 사진으로 남긴 후 정상을 떠나 잠깐 내려가자, 회원들 몇 명이 점심을 먹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통과. 덕재봉 980m 전 이정표를 지나 봉우리를 하나 넘어가니, 안부에서부터 옥녀봉 정상으로 올라가는 오르막길이 계속 이어진다. 바닥에는 계속 눈이 덮여 있지만, 다행히도 습설이 아니고 분설이라서 등산화나 아이젠에 달라붙지 않아 아주 좋았다.

▲ 앞서 가는 회원들을 만났다 [11:33]

▲ 경사가 조금 있는 오르막길 [11:37]

▲ 소나무 사이로 나 있는 길 [11:44]

▲ 옥녀봉 정상에 서 있는 이정표: 덕재봉 쪽으로 진행 [11:47]

▲ 해발 472.8m 옥녀봉 정상 표지석 [11:48]

▲ 점심을 먹고 있는 회원들을 만났다 [11:55]

▲ 덕재봉 980m 전 이정표 [12:02]

▲ 안부를 지나서 [12:07]

▲ 다시 올라간다 [12:11]

▲ 덕재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 [12:17]
12:22 회원들이 점심을 먹고 있는 해발 487.1m의 덕재산 정상 도착, 정상에는 삼각점이 박혀 있고 덕재단 가는 길을 알려주는 이정표도 서 있었다. 곧바로 출발. 덕재산 정상에서 덕재단까지는 10분 거리, 돌로 만든 제단을 확인하고 유턴, 100m 정도 떨어져 있는 삼거리로 돌아와 이번에는 이정표에 적혀 있는 금평마을 쪽으로 내려간다. 사면을 따라 나 있는 하산길 주변에는 잣나무가 많이 서 있었다.

▲ 덕재산 정상에서 점심을 먹고 있는 회원들 [12:22]

▲ 해발 487.1m 덕재산 정상 표지석 [12:22]

▲ 덕재산 정상에 박혀 있는 삼각점 [12:24]

▲ 덕재산 정상에 서 있는 이정표: 덕재단 쪽으로 진행 [12:25]

▲ 오늘 예쁜 청미래덩굴 열매를 많이 보네 [12:31]

▲ 금평마을 갈림길 지점: 여기서 덕재단을 다녀와야 한다 [12:32]

▲ 덕재단 제단 [12:35]

▲ 삼거리로 돌아와 금평마을 쪽으로 진행 [12:40]

▲ 잣나무 사이로 나 있는 길 [12:47]

▲ 오늘도 써봅니다 [12:51]
12:56 임도 수준의 널찍한 길을 10분 가까이 걸어 마을길에 내려섰고, 잠시 후 우리 버스가 서 있는 금평마을 경로당 앞 공터에 도착했다. 버스 안에서 옷을 갈아입고 대기, 후미가 모두 도착해서 1시 29분 출발,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에 있는 전라도음식이야기 식당에서 불낙전골로 시산제 뒤풀이를 했다. 3시 11분 출발, 벌곡휴게소에 잠깐 들른 버스가 청주나들목에서 고속도로를 벗어나 청주시내에 진입했는데... 뒤풀이할 때 연거푸 마신 맥주가 아랫배를 팽팽하게 만드는 바람에 강서초등학교 앞에서 내려야 하는 긴급상황이 벌어졌다.

▲ 임도 수준의 널찍한 길 [12:56]

▲ 마을길을 따라 걸어간다 [13:05]

▲ 금평경로당 앞 공터에 서 있는 우리 버스 [13:09]

▲ 꽃망울을 맺은 목련나무 [13:09]

▲ 공터에 있는 효자각 [13:10]

▲ 원불교 금평교당 [13:10]

▲ 금평 경로당 [13:11]

▲ 시산제 뒤풀이를 한 전라도음식이야기 식당 [14:13]

▲ 식당 내부 풍경 [14:14]

▲ 호남고속도로 벌곡휴게소 [15:51]
16:46 버스에서 내려 시원하게 볼일을 보고 시내버스를 타기 위해 정류장으로 가면서 지갑을 찾는데... 없다. 있을만한 곳은 모두 찾아보았지만 헛수고였다. 아침에 집을 나설 때 지갑을 챙기지 않은 모양이다. 돈도 없고 카드도 없고 난감하네. 그래, 방법이 생각났다. 어떤 방법? 걸어가면 된다. 그리하여 옷보따리와 등산화 주머니를 들고 눈이 내리는 8.62km의 도로를 걸어, 집 앞에 있는 통닭집에서 치킨 한 마리를 사 들고 집에 도착하니, 시계가 6시 50분을 가리키고 있었다.

▲ 가로수길 오른쪽 보행자도로 따라 진행 [16:46]

▲ 청주시외버스터미널 [17:01]

▲ 흥덕구 복대동 거리 [17:15]

▲ 충북대학교 교정 통과 [17:34]

▲ 무심천 산책로에 내려섰다 [18:15]

▲ 모충교 옆에 있는 잠수교를 건너간다 [18:16]

▲ 무심천 야경 [18:16]

▲ 무심천 야경 [18:18]

▲ 육거리 종합시장 [18:21]

▲ 구남궁병원 사거리 야경 [18:31]
'국내 산행 > 전북山行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2.22. [전북山行記 147] 전북 김제 구성산 (0) | 2025.02.22 |
---|---|
2025.02.20. [전북山行記 146] 전북 완주 삼정봉/중수봉/깃대봉 (0) | 2025.02.20 |
2024.12.26. [전북山行記 144] 전북 무주 대호산/성지산/김해산/금해산 (0) | 2024.12.26 |
2024.08.15. [전북山行記 143] 전북 완주 시루봉/불명산 (18) | 2024.08.15 |
2024.07.25. [전북山行記 142] 전북 완주 원등산/귀뚤봉 (25) | 202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