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 산행기
◈ 일시: 2014년 12월 20일 토요일
◈ 장소: 금정산 부산 금정구 801.5m
◈ 코스: 산성고개 → 동문 → 의상봉 → 원효봉 → 북문 → 고당봉 → 장군봉 → 은동굴 → 금륜사 → 동면초교(폐교)
◈ 시간: 4시간
◈ 회원: 청주 토요산악회 안내 산행
07:30 오늘은 청주 토요산악회 안내하는 금정산 산행에 참가하는 날이다. 부산 금정산은 두 번 다녀온 적이 있는데 오늘은 산성고개에서 출발해 고당봉과 장군봉을 들른 후 폐교된 동면초교로 내려오는 코스가 잡혀 있었다. 서청주나들목에서 고속도로에 진입한 버스가 청주상주고속도로를 거쳐 중부내륙고속도로 선산휴게소와 대구부산고속도로 청도휴게소에 들른 후 초정나들목에서 고속도로를 벗어나 산행 들머리인 산성고개를 향해 달려간다. 출발할 때에는 하늘이 잔뜩 흐려 있었는데 부산에 들어서자 하늘이 점차 파랗게 변하기 시작했다.
▲ 중부내륙고속도로 선산휴게소 [08:52]
▲ 대구부산고속도로 청도휴게소 [10:08]
11:22 오늘 산행의 들머리인 산성고개에 버스가 섰다. 두 번 쉬기는 했지만 청주에서 부산까지는 워낙 먼 길이라 거의 4시간이 걸렸다. 산성고개에서는 금정산성의 남문과 동문으로 가는 길이 갈라진다. 차도에서 이정표가 가리키는 동문 쪽으로 올라가자 금방 금정산성 성벽이 모습을 드러냈다. 성벽을 따라 안쪽으로 길이 계속 나 있는데 사실 이 성벽은 고당봉 아래 고모당까지 이어진다. 금정산성 동문을 지나면서 길은 소나무 숲속으로 들어간다. 경사가 별로 없는 산길이 계속 이어졌다.
▲ 산행 들머리 산성고개 [11:23]
▲ 차도 옆 동문 가는 길 이정표 [11:23]
▲ 차도에서 올라오고 있는 회원들 [11:24]
▲ 차도에서 올라오면 금방 만나는 금정산성 성벽 [11:25]
▲ 금정산성을 따라 산행길이 나 있다 [11:29]
▲ 금정산성 동문 [11:30]
▲ 소나무 숲길에 들어섰다 [11:32]
▲ 장전동으로 내려가는 길이 갈라지는 곳 [11:37]
▲ 아직은 길이 평탄하다 [11:44]
11:51 의상봉 잘 보이는 전망대 포토존에서 암봉과 암벽, 암릉을 구경하고 다시 걸음을 옮긴다. 그런데 길이 왜 이래? 추위에 얼었던 바닥이 녹으면서 흙이 등산화 바닥에 달라붙거나 아예 곤죽이 된 곳이 계속 이어졌다. 걷는데 보통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니다. 어쨌든 부채바위를 지나고, 제3망루와 제4망루 사이 범어사로 내려가는 길이 갈라지는 곳을 지나고, 제4망루를 지나 의상봉 쪽으로 걸음을 재촉했다. 예전에 두 번이나 왔던 곳이라 주변이 눈에 아주 익숙하다.
▲ 전망대 포토존에서 송추 회원 [11:51]
▲ 금정산의 여러 암릉과 암봉이 잘 보이는 곳 [11:53]
▲ 제3망루 아래에 있는 부채바위 [11:54]
▲ 상마마을을 거쳐 범어사로 가는 길이 갈라지는 곳 [11:56]
▲ 의상봉과 무명암이 보이는 곳 [11:59]
▲ 산행로 오른쪽으로 보이는 남산동 방면 [11:59]
▲ 금정산성 제4망루, 의상봉, 무명암 [12:02]
▲ 바위 봉우리인 의상봉 [12:04]
▲ 의상봉에서 바라본 원효봉과 고당봉 [12:06]
▲ 의상봉에서 바라본 무명봉 [12:06]
▲ 해발 620m 의상봉 정상에서 [12:06]
▲ 의상봉 암봉 아래에 있는 의상봉 안내문 [12:07]
▲ 원효봉으로 올라가는 계단길 [12:12]
▲ 해발 687m의 원효봉 정상부 [12:20]
▲ 북문으로 내려가다 바라본 고당봉 [12:27]
▲ 금정산성 북문 뒤로 고당봉이 보인다 [12:30]
▲ 금정산성 북문 앞에 있는 이정표 [12:30]
▲ 북문에서 고당봉으로 가는 계단길 [12:37]
▲ 길이 완전히 곤죽이다 [12:43]
▲ 고당봉 아래 금샘 갈림길 이정표 [12:45]
▲ 고당봉으로 올라가는 계단 [12:49]
▲ 고당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원효봉과 의상봉 [12:50]
▲ 금정산 산신각 '고모영신당' [12:51]
▲ 해발 801.5m 고당봉 정상에서 [12:52]
▲ 고당봉 정상에 있는 이정표 [12:53]
▲ 사람들로 붐비고 있는 고당봉 정상부 [12:53]
▲ 고당봉 정상에서 바라본 장군봉 [12:54]
▲ 눈과 얼음으로 미끄러운 길 [12:56]
▲ 범어사로 내려가는 길이 갈라지는 곳 [13:00]
▲ 4거리 갈림길 억새밭에서 소박한 점심 [13:15]
▲ 철탑 옆 공터에서 뒤돌아본 고당봉 [13:21]
▲ 조릿대가 자라고 있는 길 [13:23]
▲ 가산으로 가는 길이 갈라지는 곳 [13:24]
▲ 경사가 별로 없는 길 [13:37]
▲ 720봉으로 올라가다 만난 장군샘 [13:46]
▲ 장군평전에서 장군봉으로 올라가는 길 [13:55]
▲ 해발 737m의 장군봉 정상에서 [13:59]
▲ 장군봉에서 730봉으로 이어지는 암릉 [13:59]
▲ 장군봉에서 730봉으로 이어지는 암릉 [14:01]
▲ 장군봉에서 730봉으로 이어지는 암릉 [14:02]
▲ 727봉에서 송추와 대원군 님 [14:16]
▲ 727봉에서 바라본 730봉과 장군봉 [14:16]
▲ 산행로 오른쪽 경부고속도로가 보인다 [14:18]
▲ 경사가 꽤 심한 철계단 [14:19]
▲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직진 능선길은 양산 대방동으로 내려가는 길 [14:24]
▲ 은동굴로 내려가는 길 [14:31]
▲ 은동굴 내부 모습 [14:39]
▲ 은동굴 외부 풍경 [14:39]
▲ 길이 많이 평탄해졌다 [14:49]
14:51 대웅전 하나만 달랑 있는 금륜사를 왼쪽에 두고 임도 오른쪽으로 나 있는 길로 내려간다. 왼쪽 포장 임도를 따라 내려가도 되는데 훨씬 먼 거리를 걸어야 한다. 10분 정도 산길을 걸어 포장 임도에 내려섰다. 이제부터는 계속 포장도로를 따라 걸어가야 한다. 어, 그런데 여기 있던 건물이 어디로 갔지? 그 건물은 수 십, 아니 수 백 마리의 개들이 버글거리던 곳이었는데 건물 잔해만 남고 사라져버렸다. 개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 금륜사 대웅전 [14:51]
▲ 금륜사 옆에 있는 금정산 산행 이정표 [14:52]
▲ 금륜사에서 내려가는 산길 [15:00]
▲ 무슨 잎인가? 독야청청하네 [15:02]
▲ 산길을 마감하고 임도에 내려섰다 [15:06]
▲ 마지막 갈림길과 만나는 지점 [15:12]
▲ 나무에 앉아 있는 까치들 [15:16]
▲ 경부고속도로 지하통로 진입 [15:18]
잠시 후 만나서 알고 보니, 시멘트 도로를 따라 내려오다 마지막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왼쪽으로 간 것이었다. 5시 조금 넘어 출발, 양산시 동면 석산리 지당마을에 있는 '오리마을'이란 음식점에 도착해서 오리탕으로 조금 이른 저녁을 먹었다. 6시 조금 넘어 음식점 출발, 남양산나들목에서 고속도로에 진입해 칠곡휴게소에 한 번 들른 후 청주까지 내쳐 달려 청주에 도착한 시각이 9시 18분, 이렇게 해서 초겨울의 부산 금정산 산행은 무사히 막을 내렸다.
▲ 2011년 3월 1일자로 폐교된 동면초등학교 [15:22]
▲ 버스가 없어 기사분에게 전화를 거는 중 [15:25]
▲ 양산에 있는 '오리마을' 음식점에서 오리탕으로 저녁을 먹었다 [17:19]
▲ 저녁을 먹은 동네 이름: 양산시 동면 석산리 지당마을 [18:02]
▲ 경부고속도로 칠곡휴게소 [19:31]
'국내 산행 > 경남山行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01.31. [경남山行記 57] 경남 고성 연화산 (0) | 2015.01.31 |
---|---|
2015.01.08. [경남山行記 56] 경남 함양 남덕유산 (0) | 2015.01.08 |
2014.10.09. [경남山行記 54] 경남 밀양 능동산→재약산 (0) | 2014.10.09 |
2014.10.05. [경남山行記 53] 경남 거창 금귀봉→보해산 (0) | 2014.10.05 |
2014.08.30. [경남山行記 52] 경남 산청 웅석봉 (0) | 201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