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산행/한국 100名山

2008.02.17. [한국 100名山 46] 전북 완주 대둔산

by 사천거사 2008. 2. 17.

대둔산 산행기 

◈ 일시: 2008년 2월 17일 일요일 

◈ 장소: 대둔산 878m / 전북 완주군 운주면

◈ 코스: 주차장 → 동심바위 → 금강구름다리 → 삼선계단 → 마천대 → 용문골삼거리 → 매점 →

           동심바위 → 주차장

◈ 시간: 4시간 17분

◈ 회원: 아내와 함께



09:40  청주 아파트 출발. 오늘은 전북 완주에 있는 대둔산을 다녀오기로 했다. 예전에 몇 번 가 본 곳이기는 하지만, 山이라는 것이 갈 때마다 주는 감흥이 다르기 때문에 다시 찾게 된 것이다. 서청주 나들목에서 고속도로 진입, 대전-통영간 고속도로에 들어선 다음 추부 나들목에서 고속도로를 벗어났다. 고속도로에 차량은 많지 않았다. 추부 나들목으로 나오면, 무주로 가는 37번 국도나 장수로 가는 13번 국도를 버리고 전주로 가는 17번 국도를 타야 한다. 좌회전 도로 중에서 맨 오른쪽 도로로 진입하면 된다. 조금 가면 도로표지판에 '대둔산'이라고 적혀 있고 계속 17번 국도만 따라 가면 된다. 

 

10:47  배티재에 도착. 날씨가 화창해서 그런지 휴게소에 관광버스가 많다. 배티재에서는 대둔산의 암릉이 잘 보인다. 또 이 배티재에서도 대둔산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 아닌게 아니라, 관광버스에서 내린 산행객들이 배티재 오른쪽에 있는 사면길을 올라가는 것이 보인다. 배티재를 돌아 내려가면 용문골 입구가 나오는데 여기서도 대둔산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 우리는 주차장에서 시작하기로 했다. 용문골 입구를 지나면 오른쪽으로 꺾으면 바로 왼쪽에 대둔산 주차장이 있다. 주차요금 2,000원.


▲ 배티재에 있는 조형물, 전라북도 완주군과 충청남도 금산군의 경계다 

 

▲ 배티재에서 바라본 대둔산 암릉 


10:56  주차장에 도착. 이름 있는 산이라 그런지 차들이 많다. 산행 준비를 하는 사람들도 많고. 케이블카가 있어 그런가? 주차장에서는 대둔산의 암벽과 암를이 한 눈에 들어온다. 케이블카 승강장과 정상인 마천대에 있는 하얀 개척탑도 보인다. 주차장을 나서니 음식점이 늘어선 상가 지대가 있었다. 사전에 약속이 되어 있는지 호객을 하지 않는다. 좋다. 어떤 지역은 집집마다 호객을 하는 바람에 짜증이 나는 경우도 있는데. 아스팔트 도로를 따라 올라가니 왼쪽으로 케이블카 승강장이 나오고, 다시 급경사의 도로를 올라가니 '동학농민혁명 대둔산항쟁전적비'가 모습을 드러냈다.


▲ 주차장에서 본 대둔산 암릉 

 

▲ 음식점 거리를 올라가고 있다 [10:59] 


11:12  '동학농민혁명 대둔산항쟁전적비'가 있는 곳에 도착. 이곳도 동학혁명과 인연이 있는 지역인가? 전적비 오른쪽에 있는 돌계단길을 올라가자 본격적인 산행길이 시작되었다. 아는 사람은 알지만, 대둔산은 처음부터 끝까지 돌길이다. 물론 자연석을 적당히 잘 배치를 해서 계단식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보기에도 좋고 걷기에도 좋다. 돌계단길을 걸을 때마다 네팔 트레킹 생각이 난다. 비레탄티에서 고레파니로 올라가는 돌계단길은 정말 끝이 없었다.


▲ 동학농민혁명 대둔산항쟁전적비 

 

▲ 계단길 옆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고 있다 [11:13] 

 

▲ 본격적인 너덜길에 들어섰다 [11:14] 

 

▲ 잠시 휴식을 취하며 [11:28] 

 

▲ 시간이 많은데 쉬어간들 어떠리 [11:32] 


11:45  매점에 도착. 공터 왼쪽에 매점이 있고 가운데에 넓고 평평한 바위가 있어 쉬어가기에 좋은 곳이다. 매점을 지키는 할머니 한 분이 계속 우리를 지켜보지만 물건을 사거나 음식을 먹는 사람은 거의 없다. 요즘은 웬만한 것은 다 집에서 준비해 오기 때문일 것이다. 매점 공터를 지나 작은 언덕을 올라서니, 오른쪽에 시멘트로 만든 볼품 없는 육각정자가 있고 왼쪽에 동심바위가 보인다.

 

거대한 바위 덩어리가 큰 바위 위에 얹혀 있는데, 저 동심 바위를 보면서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가질까? 추측컨대, 대부분의 사람들은 '저걸 밀어서 떨어뜨리면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을 가질 것이다. 왜? 나도 그런 생각을 가졌으니까. 그렇다면 신라 문무왕때 국사 원효대사는 이 바위를 보고 어떤 행동을 했을까? 안내판을 보니, 원효대사는 처음 이 바위를 보고 발길이 떨어지지 않아 3일을 이 바위 아래서 지냈다고 한다.      

 

머리를 들어 하늘을 보니 바위벽 사이에 철다리가 걸려 있다. 금강문 사이에 걸려 있는 금강구름다리다. 사람들이 다리를 건너면서 지르는 함성과 비명이 뒤섞여 들려 온다. 대개 남자들은 함성을 지르고 여자들은 비명을 지른다. 대둔산 금강구름다리를 건너려면 금강문을 지나 오른쪽으로 올라 가야한다. 금강구름다리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올라가도 대둔산 정상으로 갈 수 있다. 그러나 대둔산의 명물인 금강구름다리와 삼선계단을 거치지 않았다면 대둔산 산행의 참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한 것이다.


금강문(金剛門)

 

임진왜란 당시 왜군들이 금산을 점령했을 때, 영규대사가 의병과 함께 싸우기 위해 연곤평으로 진군하기 위해 이 금강문을 통과하였다. 권율장군의 전승지이기도 한 이 계곡은 대둔산 최고의 절경으로 기암괴석이 금강산을 방불케한다 하여 금강계곡으로 불리운다.


▲ 산행객들의 쉼터 매점의 모습 

 

▲ 매점 바로 위에 있는 동심바위 [11:51] 

 

▲ 산행객들이 지나가고 있는 금강구름다리 [11:52] 

 

▲ 금강구름다리를 배경으로 [11:53] 

 

▲ 금강문 위를 연결하는 금강구름다리 [11:58]


12:10  금강구름다리 입구에 도착. 입구 바로 아래에서 스님이 목탁을 두드리며 시주를 구하고 있다. 대둔산에 있는 어느 절에서 온 스님인가? 과연 몇 사람이나 불전함에 돈을 넣을까? 스님의 저 행동도 수행의 일부일까? 바위 틈을 지나니 붉은 색을 칠한 금강구름다리가 한 일자로 뻗어 있다. 조금 눈을 드니 급경사의 삼선계단에 사람들이 붙어 있고 그 뒤로 마천대의 개척탑이 보인다. 금강구름다리는 일방통행로로 올라가는 사람만 이용해야 한다.


▲ 금강구름다리에 올라서기 전 

 

▲ 금강구름다리에 올라서서 

 

▲ 금강구름다리에서 [12:11] 


12:23  삼선계단에 도착. 경사가 급하다. 다른 것은 볼 것 없고 앞 사람 엉덩이만 보고 올라가야 한다. 조금만 눈을 돌려도 현기증이 날 정도다.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인 오르지 않는 것이 좋다. 길기도 길다. 양쪽 팔에 얼마나 힘을 주었던지 마지막 계단 위로 올라서니 팔이 뻐근하다. 삼선계단도 일방통행로로 올라가는 사람만 이용할 수 있다. 삼선계단에 올라서서 둘러보는 주변 경치가 대둔산 산행의 백미다. 고생 끝에 樂. 대둔산 암봉과 암릉의 최고미를 여기서 조망할 수 있다. 대둔산이 한국 100대 명산에 든 것도 바로 여기서 본 경치의 아름다움 때문일 것이다. 계단 전망대에서 오른쪽으로 너덜지대를 올라가면 매점이 있는 삼거리다.


▲ 경사가 매우 급한 삼선계단 

 

▲ 일방통행로인 삼선계단을 오르고 있다 

 

▲ 삼선계단을 올라서서 본 대둔산 암벽 [12:28] 

 

▲ 삼선계단을 올라서서 본 대둔산 암벽 [12:28] 

 

▲ 삼선계단을 올라서서 본 대둔산 암벽 [12:28]

 

▲ 삼선계단을 올라서서 본 대둔산 정상의 개척탑 [12:28] 

 

▲ 삼선계단을 올라서서 본 대둔산 암벽 [12:28] 

 

▲ 삼선계단을 올라서서 본 대둔산 암벽 [12:28] 


12:40  매점이 있는 삼거리에 도착. 해발 840m. 왼쪽으로 가면 마천대고 오른쪽으로 가면 용문골 삼거리가 나온다. 마천대 쪽은 음지라서 내린 눈이 그대로 있다. 게다가 사람들이 밟아 다져서 미끄러운 곳이 많았다. 아내에게 아이젠을 착용하도록 했다. 나야 스틱만 있어도 되니까.


▲ 마천대 아래에 있는 삼거리 매점 

 

▲ 마천대 개척탑의 모습 [12:45]  


12:49  마천대에 도착. '開拓塔'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는 거대한 탑이 중앙에 서 있는데 좁은 정상부를 거의 차지하고 있다. 이 거대한 조형물을 어떻게 이 높은 곳에 세웠을까? 사람들이 많아 사진을 찍기도 쉽지가 않다. 그냥 대충 한 장씩 찍었다. 케이블카의 힘은 대단하다. 겨울 대둔산 꼭대기를 사람들로 붐비게 만들었으니.

 

하산은 올라왔던 길을 되집어 내려갈 수도 있지만, 조금 변화를 주기 위해 용문골 삼거리에서 케이블카 승강장으로 돌아오기로 했다. 매점 삼거리에서 직진. 음지라서 눈이 쌓인 곳이 많다. 용문골 삼거리까지는 450m. 꽤 많이 걸었는데 이정표가 없다. 올라오는 사람에게 물었더니 조금 내려가면 이정표가 있다고 일러준다.


▲ 대둔산 정상 마천대에서 [12:50] 

 

▲ 대둔산 정상 마천대에서 [12:50] 


13:17  용문골 삼거리에 도착. 이정표를 보니 우측으로 가면 용문굴이 나오는데 지도를 보니 용문굴은 우리가 가고자하는 코스와는 먼 곳에 있었다. 어거 어떻게 된 거야? 여기가 분명 용문골 삼거리인데 어째 이정표와 지도가 맞지 않지? 어떻게 할까 조금 망설이다가 고민을 해결했다. 어떻게? 그냥 다시 원위치해서 내려가기로 한 것이다. 괜히 엉뚱한 길로 들어서서 고생할 필요가 뭐 있겠는가. 더군다나 겨울산인데. 나중에 안 일이지만 그 지도가 엉터리였다. 그냥 용문굴 쪽으로 내려가면 되는 일이었는데...


▲ 용문골 삼거리 이정표 

▲ 대둔산 정상 마천대의 개척탑 

 

▲ 매점 삼거리 위에 있는 이정표 [13:35] 

 

▲ 매점 삼거리 위의 조릿대 숲길 [13:38]  


13:40  삼거리 매점 위 한 봉우리에서 간식을 먹었다. 사과, 배, 귤, 커피 한 잔. 아침을 늦게 먹은 탓인지 아직 배는 고프지 않았다. 간식을 먹으며 봉우리 아래를 보니, 멋진 암릉이 사선을 긋고 있는데 금강문 사이에 놓여 있는 금강구름다리가 아득하다. 그 밑으로 대둔산 주차장이 보이고 17번 국도 뒤로 산줄기마다 눈이 쌓여 있다. 눈을 왼쪽으로 돌리니 멀리 배티재 휴게소가 보이고 그 뒤쪽 산줄기에도 눈이 하얗다. 간식 끝 하산 시작.      

 

돌계단을 내려오는 하산길은 미끄러운 곳이 많아 만만치가 않았다. 특히 음지에는 얼음이 그대로 있어 신경이 많이 쓰였다. 이런 길은 올라갈 때보다 내려올 때가 더 힘이 든다. 한 발 한 발 조심 조심 내려 오느라고 시간도 많이 걸렸다. 돌계단길에서는 절대 뛰어 내려오면 안 된다. 무릎이 상하기 때문이다. 한 발 한 발 꼭꼭 밟으면서 내려와야 한다.


▲ 삼거리 매점 위 봉우리에서 내려다 본 대둔산 금강구름다리와 주차장 [13:57]

 

▲ 삼거리 매점 위 봉우리에서 내려다 본 배티재 휴게소 [13:58] 

 

▲ 하산길에 다시 본 동심바위 [14:29]


14:56   '동학농민혁명 대둔산항쟁전적비'가 있는 곳에 도착하니 마침 케이블카가 소리를 내며 내려오고 있었다. 저렇게 쉽게 내려오는 방법이 있는데 왜 얼음 바윗길을 힘들게 내려왔을까?


▲ 동학농민혁명 대둔산항쟁전적비를 배경으로 

 

▲ 케이블카가 푸른 하늘을 달리고 있다 

 

▲ 푸른 하늘을 달리고 있는 케이블카의 모습 


15:13  주차장 출발. 돌아가는 길은 국도를 이용하기로 했다. 17번 국도를 타고 달리다 마전에서 37번 국도를 이용 옥천까지 온 다음 4번 국도를 타고 대전 쪽으로 달렸다. 증약을 지나면 오른쪽으로 회남으로 가는 571번 지방도가 나온다. 이 길은 대청호를 끼고 돌기 때문에 드라이브 코스로 아주 좋다. 예전에 들렀던 대청호변의 라이브 레스토랑 '꽃님이'를 지났다. 이름도 아름답지만 주변 환경과 음식 맛도 괜찮아 대전과 청주에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회남대교를 지난 다음 509번 지방도를 이용해서 문의 쪽으로 달렸다. 작년 12월 30일 다녀온 샘봉산 산행 기점인 월리사 들어가는 길이 왼쪽으로 보인다. 산행 후의 붕어찜은 일미였었는데... 

 

17:25  청주 도착. 산행 후에는 거의 빠짐 없이 찾는 '김천가'에서 순대전골과 소주로 산행의 피로를 풀었다. 대둔산은 코스는 짧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돌계단 길이라서 무릎 보호에 신경을 많이 써야할 산이다. 한편, 정상 부근까지 운행하는 케이블카가 있어서 노약자나 어린이도 쉽게 정상까지 갈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대둔산의 명물인 금강구름다리와 삼선계단은 꼭 이용을 해야 대둔산 산행이 추억에 오랫동안 남는다.